Surprise Me!

[여랑야랑]한동훈 vs 김의겸 ‘직을 걸고’ / 윤 대통령, 박정희 묘소 참배 / 이재명의 눈물

2022-10-25 4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직을 걸고, 앞서 리포트에서 전해드린 두 사람 얘기군요. <br><br>네, 한동훈 법무부 장관과 김의겸 민주당 의원인데요. <br> <br>어제 김 의원이, 제보받은 내용이라며 질문을 하자 한 장관은, '직을 걸겠다', '의원님은 뭘 걸겠냐'고 따져 물었죠.<br><br>[김의겸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)]<br>"제가 제보를 받았습니다. 7월 19일 밤인데요." <br> <br>[김의겸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)]<br>"그날 술자리를 가신 기억이 있으십니까?" <br> <br>[한동훈 / 법무부 장관 (어제)]<br>"책임 있는 말씀을 해주시죠. 매번 이렇게 어디서 들으셨는지 모르겠지만…." <br> <br>[김의겸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)]<br>"(술자리에) 김앤장 변호사 30명가량이 있었습니다." <br> <br>[김의겸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)]<br>"그리고 윤석열 대통령도 합류를 했습니다." <br><br>[한동훈 / 법무부 장관 (어제)]<br>"(공개적으로) 모욕할 정도로 자신 있는 말씀이세요? 저는 법무부 장관직 포함해서 앞으로 어떤 공직이든 다 걸겠습니다. 의원님 뭐 거시겠습니까? 거시는 거 좋아하시잖아요? <br><br>Q. 직 걸라는 말은 예전에 김 의원도 하지 않았나요? <br><br>네, 열흘 전 김 의원이 한 말인데요. <br> <br>한 장관이 문재인 정부 인사와 이재명 대표를 겨냥한 수사를 하려고 미국 출장을 갔다고 주장하면서입니다. <br> <br>[김의겸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12일, CBS 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]<br>"당신이 미국까지 가서 했던 것은 이건 검찰청법 8조를 정면으로 위반한 거니 하고 싶으면 당신의 직을 걸고 하자. 정면 승부를 하라." <br><br>민주당은 지난달에도 검찰 수사권 원상 복구, 이른바 검수원복 시행령 개정을 이유로 한 장관의 직을 언급했습니다.<br><br>[김회재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9월)]<br>"잘못되면 장관 사퇴하시겠습니까?" <br> <br>[한동훈 / 법무부 장관 (지난 9월)]<br>"도박하듯이 직을 거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Q. 오늘 김의겸 의원은 한 장관이 직을 걸겠다고 해서 국감장을 도박판으로 만들었다고 비판했더군요. <br><br>국민을 위해 일할 기회이자 소중한 자리를, 정쟁 때문에 도박하듯이 내걸었다는 비판, 김 의원도 피하긴 힘들어 보입니다. <br> <br>Q. [다음 주제] 보겠습니다. 윤석열 대통령, 누구의 묘소를 찾았나요? <br><br>고 박정희 전 대통령입니다. <br> <br>내일 10월 26일이죠. <br><br>서거 43주기를 하루 앞두고 국민의힘 지도부와 김대기 비서실장, 박민식 국가보훈처장 등과 함께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았는데요.<br><br>Q. 현직 대통령들이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일을 챙겼었나요? <br><br>현직 대통령이 서거일을 전후해 묘소를 참배한 건 이례적입니다.<br><br>유족인 박근혜 전 대통령을 제외하곤요. <br> <br>박근혜 전 대통령 후보 시절, 이런 말을 남겼죠. <br> <br>[박근혜 / 당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 (2012년 10월)]<br>"이제 아버지를 놓아 드렸으면 합니다. 아버지 시대에 이룩한 성취는 국민들께 돌려 드리고 그 시대의 아픔과 상처는 제가 안고 가겠습니다." <br><br>윤 대통령 참배를 두고 보수 지지층 결집을 위한 행보라는 분석도 나오는데요. <br> <br>서거 당일보다 하루 앞당겨 참배하면서 논란을 비껴가려했다는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Q. [주제 하나] 더 보겠습니다. 이재명 대표의 눈물. 어제 화제가 된 장면이었어요. <br><br>네. 어제 민주연구원 검찰 압수수색 현장을 찾은 이재명 대표의 눈물을 민주당은 이렇게 해석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어제)]<br>"비통한 심정으로 이 침탈의 현장을 외면하지 않고 지켜보겠습니다. 국민 여러분께서 이 역사의 현장을 잊지 마시고…" <br> <br>[김남국 / 더불어민주당 의원]<br>"굉장히 조금 <비통한 심정>이었을 것이다. 편파적인 수사에 대한 <억울함> 이런 심정이…" <br> <br>[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(어제, TBS '신장식의 신장개업')]<br>"뭐 <참담한 심정>이겠죠. 뭐 <서러운 느낌>으로 다가오지 않았겠어요?" <br><br>Q. 비통함, 서러움, 참담함이라고 해석했네요. <br><br>네. 하지만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눈물에 대해 혹평을 쏟아냈습니다.<br> <br>[성일종 / 국민의힘 정책위의장]<br>"그 어떤 진심도 느껴지지 않는다. 정치를 그만두고 눈물연기를 앞세워 배우를 하시는 것이 더 나을 듯하다." <br> <br>[김기현 /국민의힘 의원(오늘, CBS '김현정의 뉴스쇼')]<br>"아, 정말 참 변신의 귀재다. 슈퍼 카멜레온이다, 선택적 눈물을 흘리는 아주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다… (고 김문기 전 처장) 죽음에 대해서/ 눈물 흘리기는커녕 모른다고 하고 조문도 안 갔고요." <br><br>권성동 의원은 "수사에 대한 두려움, 극단적 지지층을 자극하려는 신파"라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Q. 눈물이 정치적으로 약도 되고 독도 되는 것 같아요. <br><br>눈물을 흘린 이 대표 본인도 과거 다른 사람의 눈물을 부정적으로 바라본 적이 있는데요. <br> <br>[이재명 / 당시 성남시장 (2016년 11월)]<br>"2014년 4월 16일에 그 수많은 사람이 물에 빠져 정말 죽어가고 있는 장면을 다 봤는데 그 여자가 어디서 뭐 했는지 아무도 모릅니다. 그러고 난 다음에도 지금까지 가짜눈물 한번 흘리고 뻔뻔하게 살아남았거든요." <br><br>가수 유승준 씨 인터뷰에 대해 "눈물에 약한 한국민의 심성을 악용한 것"이라며 비판한 적도 있습니다. <br> <br>Q. 이 대표 눈물도 처음은 아니에요. 대선 때 어머니 생각하며 흘린 적도 있죠. <br><br>당시 지지율이 정체됐을 때 였는데요. <br> <br>위기가 찾아올 때마다 눈물을 보인 이 대표. <br> <br>위기 때 흘리는 눈물이 통할지는 국민들이 얼마나 공감하느냐에 달려있지 않을까 싶네요. (통할지는) <br><br>Q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 ·배영진PD <br>그래픽: 한정민 디자이너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